본문 바로가기

LARRY'S Acquaintance/1) 주식공부

FOMC FED 금리상승 대비

반응형

 

 

2021년(1/4분기) 경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인 충격 요인으로 벡신, 실물금리의 급격한 상승, 인플레이션

 

 

2020년(3/4분기) 경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인 충격 요인으로 미국 정치적 불확실성(트럼프, 바이든), 기업 및 중소기업(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의 스트레스 및 디폴트, 불풍분한 재정부양책 등에서 바뀐 것으로 추정

유사하게 연준에서 레포트가 나온 이후 약 6개월 전후로 금리 상승이 예정
같은 추세라고하면, 2021년 11~12월 금리상승 예상됨

 

https://youtu.be/lwd-wjDQQPY

초보자를 위한 금리의 이해를 하기 가장 좋은 컨텐츠

 

 

금리와 은행이자는 반대의 개념

금리는 댐의 수문이라 생각하면된다. 댐의 문을 내리면 시중에 물이 많아 지듯이, 돈이 풀려서 시장에 돈이 많아지면서 경기의 활성화가 이루어 지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금리가 상승하게 된다면 시중의 돈을 걷어들이면서 경기활성화를 일정수준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금융적인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이 금리를 올리면 이자를 많이 받는 것으로 생각하여 좋은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사실 본인도 공부를 하기 전에는 금리에 대한 개념이 부족했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한다.) 이는 경제에 있어서는 "할인"으로 반대로 생각하여 적용해야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내용을 덧붙이자면, 댐을 내리는 것으로 시장에 물을 풀어주는 것을 금리를 낮추어 시장을 활성화 시킨다 했는데, 더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면 양적완화를 통해 시장에 돈을 더 찍어내서 풀어주는 방법이 있다. 미국과 일본에서 양적완화 사례를 찾아보면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관련된 내용은 유튜브 약 18분간의 내용을 보면 예능방식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