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로축은 해결방법(control)에 대한 축으로
오른쪽으로 갈수록 해결방법을 더 확실히 아는 방향
세로축은 문제인식(awareness)에 대한 축으로
위로 갈수록 문제 인식이 확실한 방안임
즉, 1번은
문제인식은 가능하며(known)
해결방법도 아는(known) 리스크
2번은
문제인식도 가능하며(known)
해결방법은 모르는(unknown) 리스크
3번은
문제인식이 어려우며(unknown)
해결방법은 모르는(unknown) 리스크
4번은
문제인식이 어려우나(unknown)
해결방법은 알고 있는(known) 리스크
한국식문화?로는
1,2,3,4번의 위치가 달라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
위의 표가 다소 헷갈릴 수 있으니,
한국식으로 표현하자면 아래와 같다.
구분 | 해결방법 O | 해결방법 X | |
문제인식 O | KNOWN KNOWN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방법도 알고 있음 |
KNOWN UNKNOWN 문제는 인식하고 있지만, 해결하는 방법을 모름 |
|
문제인식 X | UMKNOWN KNOWN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모르지만 해결하는 방법은 알고 있음 |
UNKOWN UNKOWNS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모르고, 해결하는 방법도 모름 |
반응형
'Engineer LARRY > 4) 기술사답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량 건설공사(상부공) 안전작업 편람 (0) | 2022.11.30 |
---|---|
사고예측 시스템 (0) | 2022.11.01 |
[토목시공기술사참조] 토목기사 필기 요약본 (0) | 2022.06.01 |
기술사 차별화 답안지 (0) | 2021.06.04 |
[기술사답안지] 항만 준설선 선정 시 고려사항 및 토질별, 거리별 준설선의 종류 및 특징 (1) | 202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