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미경 세븐테크

반응형
구분 정부
(중앙은행)
민간단체/기업 비고
중앙 집중형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CBDC)
가상화폐  
탈중항형
(블록체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CBDC)
가상화폐
암호화폐
 

▲전자화폐의 종류

 

 

 

블록체인의 해킹이 불가능한 이유


비트코인 사용자 A,B,C가 있다.


각 사용된 비트코인의 일련번호가 실시간으로 기록

10분동안 기록해놓은 파일이 "블록"이라 하고

이 블록들은 10분마다 서로 공유하다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투표를 실시함

다수결의 원리에 따라서 일련번호들은 다수의 의견에 따라 수정됨

이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면 시간순서에 따라 연결되는데 이를 "블록체인"이라고 함

 

블록체인의특징 4가지

 

구분 내용 비고
탈중앙화
모든 것을 투표로 결정하므로 중앙의 관리기관이 필요없음

 
영구보전성 삭제하거나 수정하는게 거의 불가능하다.
예) 3명의 사용자 → 3명의 사용자의 동의
10억명의 사용자 → 10억명의 사용자의 동의.. 사실상 불가능
 
투명성 같은 데이터를 평등하게 볼 수 있음
같은 블록체인을 PC에 공유함
 
가용성 문제가 생겼을 때 빠른 시간에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음
최근의 블록체인을 복사하여 사용하기만 하면 됨
 

 

이해의 오류에서 나온 현실 사례

 

블록체인은 해킹이 불가능한 기술이 아니라, 오히려 공유가 되는 자료이다. 따라서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지키라"라는 말은 블록체인에 등록하여 모든 사람이 다 공유하여 볼 수 있게 하라는 말이 된다.

 

즉, 블록체인에 개인정보를 등록하라는 말은 위변조를 하지 못하게 할 수는 있겠지만 데이터 자체를 보호하거나 비밀로 부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