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미 금리역전
예시
3.00% 한국 금리
3.25% 미국 3년 국채금리
미국으로 쏠리게 되어있음
물은 높은데서 낮은데로
돈은 낮은데서 높은데로 쏠리는 현상
실적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에는
앞으로의 매출과 수익이 좋아서
돈이 몰릴 것으로 판단하여
주식을 사면서 가치가 올라감
같은 이치로
경제의 침체가 예상되어
시중의 돈이 풀리게 되면
자산의 가치가 올라가게 됨
부동산 채권 현물 등등
일드갭(Yield Gap)
주식의 기대수익율과 채권의 기대수익율 차이
주식의 기대수익율 : 1/PER
예) 한국의 PER 10이라고 가정하였을 떄
주식의 기대수익율을 10%
채권(일반적으로 미국3년물 국채를 기준으로 함)
이를 3%라고 가정함
그렇다면 현재의 기준으로 일드갭은 7% (10%-3%)이다.
이때, FOMC 회의에 따라 미국기준 금리가 상승하여
채권의 기대수익율이 4%까지
울트라스텝을 밟았다고하면
(빅스텝 +0.5%, 자이언트스텝 +0.75%, 울타르스텝 +1.0%)
일드갭은 6% (10%-4%)이다.
일드갭이 줄었다는 것은 채권에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갔다는 것이며
주식에 투자하는 위험자산에 돈이 몰리는 것보다는
안전한 채권과 같은 자산으로 돈이 유입될 것이라는 뜻이 된다.
반응형
'LARRY'S Acquaintance > 1)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쟁의 비용 (신한 박석중 연구위원) (1) | 2022.10.01 |
---|---|
[주식용어] GBP (Pound Sterling = 1파운드(영국)) (0) | 2022.09.30 |
DL이앤씨 소형원자로(SMR) 사업진출 (2) | 2022.09.21 |
CPI 및 근원 CPI (0) | 2022.09.14 |
전인구 경제연구소 (양양 스승님)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