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의 윤리적 특성에 대해 3가지 이상 기술하시오.
첫째, 사회, 경제적인 요구수준이 높은 산업입니다.
발주처, 설계사, 시공사, 실제로 사용하는 민원인 등 많은 이해관계자가 함께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사회적인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러한 요구조건과 수준을 충족하는 것이 산업의 발전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사회간접시설물을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는 직접 사용하면서 건설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성하게 됩니다. 타 사업에 대비하여 생활과 밀접하게 이어있기 때문에 피드백이 빠를 수 있습니다. 더불어, 우리나라는 GDP성장이 가파르게 성장한 국가로서 과거의 수준보다 높은 수준의 기능과 수준을 요구하기 때문에 건설 산업에 종사하는 우리로서는 그러한 요망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품질을 갖추어야 하겠습니다.
둘째, 이해관계자가 다양하며, 성실한 계약이행은 필수 요건입니다.
건설시설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동력이 투입되며, 이해관계자들이 다른 사업에 비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다른 산업과 다르게 실제 몸을 사용하는 노동집약적인 산으로서 발주처, 시공사, 감리, 개별 하청업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로 인한 성실의 의무가 산업의 핵심이며 우리는 생산자이자 사용자라는 사실을 항상 인지하며 윤리의식을 고취해야겠습니다.
셋째, 법적, 윤리적 책임이 광범위한 산업입니다.
계약 후 시공,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이라는 프로세스상 선의의 계약이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그 이후에도 하자보수, 유지관리 등의 광범위한 법적, 윤리적 책임이 부과됩니다. 계약 이행 후 사후 책임까지 광범위하게 법령으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건기법(건설산업기본법), 건진법(건설기술진흥법), 국계법(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 공정별 하자보수기간, 공사이행보증 등 관련 법규에 따른 이행사항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입찰제한 등 상벌규정에 따라 시공사의 불이이익이 있으므로, 이러한 윤리적 책임에는 법령으로 규제되는 사항도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