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채 가격이 떨어지는, 채권 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매도 물량이 많아져서' 이다
1. 향후 경제가 회복될 것을 기대
- 국채에 투자해서 1~2%수익을 내는 것 보다, 다른 곳에 투자하는 것이 이득이라고 생각으로 장기채를 매도
- 장기채 금리 상승
2. 연준의 테이퍼링이 시작된 것?
-사실 국채 금리는 더욱 높아질 수 있었으나 (코로나 종식후 경제는 정상화 될 것이기에) 연준에선 양적 완화를 위해 시장에서 미국채를 매입 -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었다
반응형
'LARRY'S Acquaintance > 1)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227 캐시우드 세미나 요약 김단테 (0) | 2021.03.01 |
---|---|
채권금리 1.3% 돌파는 위험신호인가 (0) | 2021.03.01 |
210301 캐시우드 (0) | 2021.03.01 |
슈퍼개미의 투자 수업 (0) | 2021.03.01 |
파월발언 요약 (전인구 경제연구소) (0) | 2021.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