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양책이 이중적으로 보고 있음
적자재정은 향후 연준에 대해서
코로나 상태의 저축율을 보는 관점이 차이가 있음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저축율이 높아지는 만큼 경기가 안 좋음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소비자들은 저축을 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소비할 여력이 충분함
양적양화가 끝나고 기준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채권을 더 이상 사주지 않는다
향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아닐지?
가치주들이 먼저 상승되고, 기술주가 낮아지는데
상승하는 섹터가 더 넓어지는 느낌이 되고 있다.
크립토를 만드는데 환겨에 대한 문제가 있는데
금 채굴에 대한 에너지보다 비트코인에 대한 에너지가 더 효율적임
전통적인 금융기관에 비해서 행정적인 절차가 빠른편
버는 돈에 비해서 얻는 경우
금리가 상승할 경우에는 PER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음
반응형
'LARRY'S Acquaintance > 1)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227 캐시우드 세미나 요약 김단테 (0) | 2021.03.01 |
---|---|
채권금리 1.3% 돌파는 위험신호인가 (0) | 2021.03.01 |
슈퍼개미의 투자 수업 (0) | 2021.03.01 |
파월발언 요약 (전인구 경제연구소) (0) | 2021.02.28 |
주식공부 (0) | 2021.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