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은행(WB)은 6.8.(화) 09:30(美 워싱턴 D.C 기준, 한국시각 6.8.(화) 22:30)에 「세계경제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을 발표하였습니다.
* WB는 매년 2회(1월, 6월) 「세계경제전망」을 발간하며,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는 별도로 발표하지 않음
ㅇ 주요 내용은 첨부자료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참고: 2021.6월 세계은행(World Bank) 세계경제 전망치
※ 첨부 자료는 보도편의를 위해 세계은행의 보고서를 요약·정리한
자료이므로 상세 내용은 WB Global Economic Prospects
(www.worldbank.org/gep)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세계경제 전망) 금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은 5.6%*(선진국 5.4%, 신흥․개도국 6.0%)로, ‘21.1월 전망 대비 상향 조정(+1.5%p)
* 성장률 전망 비교(1월→6월) (‘21년) 4.1% → 5.6% (’22년) 3.8% → 4.3%
※ IMF 성장률 전망(4.6일) : (’21년) 6.0% , (’22년) 4.4%
OECD 성장률 전망(5.31일) : (’21년) 5.8% , (’22년) 4.4%
ㅇ 미국 등 주요국의 가파른 경제회복과 백신 공급(highly unequal vaccine access) 등으로 80년만에 가장 강력한 “불황 후 경제 성장 속도”
ㅇ 다만, 변종 발생에 따른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과 신흥․개도국의 높은 재정부담 등으로 인한 경제 하방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
ㅇ 각 국은 경제회복 지원과 물가 안정․재정건전성 확보를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며, 세계은행은 경제 개혁과 녹색․회복․포용적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
* GRID: Green, Resilient and Inclusive Development
(지역별 전망) 선진국에 비해 대부분의 신흥・개도국은 팬데믹에 따른 피해를 극복하기에 경제 성장률이 충분히 높지 않은 상황
(단위: %) |
세계 | 미국 | 유로존 | 동아태 | 유럽 중앙아 |
중남미 | 중동 북아프 |
남아시아 | 사하라 이남 |
|
6월 전망 |
‘20년 | △3.5 | △3.5 | △6.6 | 1.2 | △2.1 | △6.5 | △3.9 | △5.4 | △2.4 |
‘21년 | 5.6 | 6.8 | 4.2 | 7.7 | 3.9 | 5.2 | 2.4 | 6.8 | 2.8 |
ㅇ (선진국) 미국은 대규모 재정지원과 높은 백신 공급을 통해 6.8%, 유로존은 백신 공급 가속화와 팬데믹 제한 완화로 4.2% 성장 전망
ㅇ (신흥ㆍ개도국) 동아태는 7.7%로 중국의 강한 경제회복 추세(8.5%)로 인해 가장 높은 경제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 다만, 중국 제외 시 4.0%로 1월 전망치보다 낮은 수준(지속적 관광 사업 위축)
- 유럽ㆍ중앙아는 높은 외부 수요와 공산품 가격 상승 등으로 3.9%, 중남미는 백신 수급 상황 개선과 이동 제한 완화 등으로 5.2% 전망
- 중동․북아프리카는 유가 상승이라는 긍정적 요인에도 불구,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와 백신 수급 어려움 등으로 2.4%에 불과
- 남아시아는 건설업 회복 추세에도 불구 코로나19 피해로 인해 6.8%, 사하라 이남은 농산물 수출업체의 국내 활동 강화 등으로 2.8% 전망
(향후 이슈) ①무역 비용, ②인플레이션 관련 이슈 논의
❶ (무역 비용)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무역 확대는 신흥․개도국에게 경제회복의 기회 제공
- (현황) 평균적으로 국제 무역 비용이 국내 비용의 2배 수준으로, 관세는 무역 비용의 1/14에 불과 + 선적․물류비용 비중 높음
- (추진과제) 무역 비용 절감을 위한 포괄적인 개혁 패키지 필요
→ 무역 자유화, 프로세스 및 통관 절차 간소화, 인프라 구축 등
❷ (인플레이션) 글로벌 경제 회복 추세에 빠르게 반응하여 금년에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전망
- (신흥․개도국) 높은 인플레이션은 경제회복을 위해 확장 정책을 추진 중인 신흥․개도국의 정책적 선택에 어려움 야기
→ 중앙은행의 신뢰도 강화는 인플레이션 기대치 안정에 기여
- (저소득국)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식량안보․빈곤감축에 악영향
→ 보조금 제공을 통한 식품 가격 안정 시도와 자국 보호주의의 재출현은 글로벌 가격 상승 등의 부작용 초래 우려
참 고 | 2021.6월 세계은행(World Bank) 세계경제 전망치 |
(단위 : %, %p)
2018 | 2019 | 2020e | 2021f | 2022f | 1월 전망 대비 조정폭 | ||
2021f | 2022f | ||||||
▪경제성장률 (시장환율 기준) | |||||||
(세 계) | 3.2 | 2.5 | △3.5 | 5.6 | 4.3 | 1.5 | 0.5 |
ㅇ 선진국 | 2.3 | 1.6 | △4.7 | 5.4 | 4.0 | 2.1 | 0.5 |
- 미국 | 3.0 | 2.2 | △3.5 | 6.8 | 4.2 | 3.3 | 0.9 |
- 유로지역 | 1.9 | 1.3 | △6.6 | 4.2 | 4.4 | 0.6 | 0.4 |
- 일본 | 0.6 | 0.0 | △4.7 | 2.9 | 2.6 | 0.4 | 0.3 |
ㅇ 신흥시장ㆍ개도국 | 4.6 | 3.8 | △1.7 | 6.0 | 4.7 | 0.8 | 0.4 |
(동아시아·태평양) | 6.5 | 5.8 | 1.2 | 7.7 | 5.3 | 0.3 | 0.1 |
- 중국 | 6.8 | 6.0 | 2.3 | 8.5 | 5.4 | 0.6 | 0.2 |
(유럽·중앙아시아) | 3.5 | 2.7 | △2.1 | 3.9 | 3.9 | 0.6 | 0.1 |
- 러시아 | 2.8 | 2.0 | △3.0 | 3.2 | 3.2 | 0.6 | 0.2 |
(중남미) | 1.8 | 0.9 | △6.5 | 5.2 | 2.9 | 1.4 | 0.1 |
- 브라질 | 1.8 | 1.4 | △4.1 | 4.5 | 2.5 | 1.5 | 0 |
(중동·북아프리카) | 0.6 | 0.6 | △3.9 | 2.4 | 3.5 | 0.3 | 0.3 |
- 사우디 | 2.4 | 0.3 | △4.1 | 2.4 | 3.3 | 0.4 | 1.1 |
(남아시아) | 6.4 | 4.4 | △5.4 | 6.8 | 6.8 | 3.6 | 3.0 |
- 인도 | 6.5 | 4.0 | △7.3 | 8.3 | 7.4 | 2.9 | 2.3 |
(사하라이남) | 2.7 | 2.5 | △2.4 | 2.8 | 3.3 | 0 | △0.2 |
- 남아공 | 0.8 | 0.2 | △7.0 | 3.5 | 2.1 | 0.2 | 0.4 |
▪국제무역량 (전년 대비) |
4.2 | 1.2 | △8.3 | 8.3 | 6.3 | 3.3 | 1.2 |
▪국제유가 (전년 대비) |
29.4 | △10.2 | △32.8 | 50.3 | 0 | 42.2 | △13.6 |
'Project Finance & P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출입은행 채용 2022 (4) | 2022.05.27 |
---|---|
2020년 PEF(Private Equity Fund) 동향 및 시사점 (0) | 2021.07.22 |
후쿠오카 다자이후 투자사업 활성화 검토 (0) | 2021.06.02 |
프로젝트 파이낸스 (0) | 2021.05.30 |
프로젝트 파이낸스 노트필기 (0) | 2021.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