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ngineer LARRY/0) 건설뉴스

한중터널 (韓-中 Korea-China Tunnel)

반응형

우연하게 한중터널에 대한 기사를 보게 되었다.
2009년도부터 경기도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
기대 수익하는 수익이 높은 사업으로
표현이 되었던 프로젝트였다.

지금보면 약 300km가 넘는 
해저터널을 만드는 것인데,
여러가지 자료를 요약해보면
해당사업에 대한 B/C 분석결과
(Benefit to Cost) 
투자대비 효용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수백조원의 예산이 투입되지만
그에 대한 경제적 이익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앞으로의 토목기술이 발전하게되면
투입되는 공사비용은 혁신적으로 줄어들게 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엔지니어링의 기술이 발달해야하며,
무엇보다도 노동중심의 건설현장에서 벗어나
공장화, 자동화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관련된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를 하고 싶고, 더욱이
발전해 보고 싶지만
연구자료 대부분이 오픈되어 있지 않아
아쉬운 부분이다.

▲그림1. 한중 해저터널 예상도
▲그림2. 한중 해저터널 예상도 세부사항
▲그림3. 한중해저터널 추정계획안 (출처: jamsusa.co.kr)

 


한중일 해저터널 건설공사에 대한 소고.pdf
1.59MB

 


 

 

참고자료


www.engdaily.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2

 

<연재>바다 밑에 길을 만든다-세계하·해저터널-4편> - 엔지니어링데일리

3번에 걸쳐 연재된 '바다 밑에 길을 만든다-세계하‧해저터널'을 통해 전세계의 해저터널의 현황과 공법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 연재는 삼보기술단이 제작한 Subaqueous Tunnel in World를 기초로 기사.

www.engdaily.com

건설콘페이퍼 Engi's CONPAPER (tistory.com)

 

시진핑의 방한과 한중 해저터널

한중해저터널 추정계획안 From jamsusa.co.kr 중국 주석 시진핑이 7월3일과 7월 4일 이틀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가까운 북한보다 먼저 방문하는 이유는 차치하고라도 이번 방한에서 건설업계는

conpaper.tistory.com

경기연구원 (gri.re.kr)

 

경기연구원

경기연구원, 경기도, 경기도 보고서, 기획조정, 수도권정책, 자치행정, 도시지역계획, 교통정책, 경기발전연구원,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연구원

www.gri.re.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