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회석의 주요 수입 대상국은 일본, 베트남, 중국이며,특히 일본 물량이 전체 석회석 수입 중 약 75~80%를 차지한다. 수입물량은 주로 제철용과 탄산칼슘용으 로 소요된다. 특히 고품위 탄산칼슘용 석회석의 경우 국내산 석회석의 품위 및 스 펙 문제로 대부분의 수요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중질 탄산칼슘의 생산량은 약 130만 톤이고, 이중 건식 GCC가 약 40%, 습식 GCC가 약 60%를 차지한다. 건식 GCC의 생산기업은 오미아,렉셈 2개 업체 이고, 습식 GCC의 생산기업은 오미아,태경산업,GMC 3개 업체로,국내 중질탄 산칼슘 시장은 사실상 독과점 구도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가장 큰 생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오미아가 국내 중질탄산칼슘시장의 가격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중질탄산칼슘은 물리적 가공방법으로 제조되는데 비해 경질탄산칼슘(침강성탄 산칼슘)은 생석회에 물을 혼합한 석회유에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생산되는 화학적 제조법으로 제조된다
경질탄산칼슘은 공정이 복잡해 높은 비용이 소요되며 평활성,고백색도, 광택도,균일성 등의 품질 향상이 이루어지면서, 제지업체들이 원가절감 차원에서 중질탄산칼슘에 대한 수요를 늘리고 있다. 이 결과 제지업계에서 중질탄산칼슘이 기존의 활석, 고령토, 경질탄산칼슘을 대체하고 있고, 더욱이 경질탄산칼슘이 주로 사용되는 고급지에서도 중질탄산칼슘(특히 습식중질탄산칼슘)의 강세가 두드러지 고 있다.
국내 경질탄산칼슘 제조업체는 동호칼슘, 우신화학, 유진화학, 백광소재 4개 사 에서 생산하고 있으나,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지업체를 포함한 국내 수요에 지속 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생산규모를 운영하는 기업은 동호와 백광소재가 꼽힌다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렉이 2010년에 포항제철소에 석회부산물과 형산발전소 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활용해 경질탄산칼슘을 만드는 연간 2만톤 규모의 공장을 완공했다
[출처: 네이버블로그 솔로몬(tama2020)]
석회석..탄산칼슘..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래리킴 의견]
위와 같은 흐름으로 검토할 수 있겠다. 주식을 살펴보자.
'LARRY'S Acquaintance > 1)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로가는 4단계 (0) | 2022.01.04 |
---|---|
코스피 5000 시나리오 (전인구) (0) | 2021.12.30 |
신혼부부 5천만원으로 투자하기 (0) | 2021.12.25 |
FPCB(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0) | 2021.12.24 |
물적분할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