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에서
지난 10년간의 아파트 상승요인을 분석한 결과
수급불균형
경제성장
주담대증가율
위 세가지의 요인이
아파트 가격의 주된 상승요인이라 밝혔다
투자 억제론자들의 주장과 반대로
다주택자가 늘어날수록 아파트값 상승폭은 낮아지고
다주택자가 줄어들수록 아파트값 상승폭은 높아지는
반비례 상관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올해 2021년 부동산가격(주택가격)을 예측한결과
매매가격은 전국 1.5%
수도권은 1.4%
서울은 1.5% 상승으로 전망하고
전세가격은 전국 3.1 %
수도권은 3.3 %
서울은 3.6 % 상승으로 전망한다
공급은 아파트 분양물량
수요은 특정년도의 30세 진입인구에서 사망인구를 제외한
주택시장활동인구 순증분으로 추청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b4GDYQ/btqSjBmzqsT/h0DrBft9siPslKRoJZs9Bk/img.jpg)
앞서 언급하였던 세가지 요소를
세부적으로 보면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서울의 가격은 다주택비율의 영향요인에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는 다주택보유 억제가
집값 안정에 절대적이는
현 정부의 투기억제론자들의 주장과
전혀 반대되는 내용이다.
전세의 경우는 매매와 달리
금리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금리가 임대인의 기회비용과
전월세 전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임대시장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매매와 반대로
다주택자비율의 상관계수가 0.40으로
집값안정기에 다주택수가 늘어나고
매매와 전세가격 격차는 줄어들면서
실질임차료수준이
더 올라가는 현상을 반영한 결과이다.
미래전망모델결과
2021년 매매가격은 서울, 수도권 모두
올해의 상승세를 유지하거나
상승폭이 둔화되어 1.5%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전세가격은 실사용의 수요를 만족하지 못하는
공급에 따라서 가격상승이 예상되어
매매 상승폭보다 큰 3.1% 상승으로 예측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kldhi/btqSjA2gFfu/aU3ckisEHmdOmODYST804k/img.jpg)
누적된 공급부족에 대해 개선가능이 낮은 가운데
정부의 규제강화도 지속되는 상황에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신규 주택에 대한 선호,
저금리와 유동성 확대
전세시장 불안 등으로
전월세 가격은 상승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Vl2zO/btqSgMWcOGY/rvRQiK6OW80zPwtYfPe1h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yPQHh/btqRXIaoG5p/iQ22KDkfwqXnkgtcx2cs2k/img.jpg)
건설업을 하는 사업자 측면에서는
가용택지 부족과 과도한 금융규제 및
분양가 규제 등으로
금년보다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지만
입주자모집공고를 할 수 있는 사업장
분양시장은 호황이 될 것이라 예측하였다.
http://www.khi.re.kr/main/main.php
주택산업연구원
www.khi.re.kr
'LARRY'S Acquaint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 The Catalyst (0) | 2021.01.01 |
---|---|
[부동산]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0) | 2020.05.07 |
[BOOK] 보고서 마스터 / 이병주, 윤영돈 저 / 가디언 (0) | 2020.05.05 |
[BOOK] 기획의 신 / 임영균 저 / 스몰빅라이프 (0) | 2020.05.05 |
[BOOK] 빅데이터 부동산 투자 / 김기원 저 / 다산북스 (0) | 2020.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