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yes24.com/Product/Goods/37143455
기획의 신
“기획은 단 3가지로 끝나는, 아주 쉽고 단순한 일이다!”‘기획’이라는 말만 들으면 막막하고, ‘기획안’ 써 오라면 손발이 떨리고, ‘프레젠테이션’을 맡으면 팔다리가 쑤셔 오는 이유는 기획의 프로세스를 제대로 익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기획은 Why-What-How, 단 3가지로 끝나는 아주 쉽고 단순한 일일 뿐이다. 기획의 이유, 대상, 방법만 ...
www.yes24.com
#논리적이라는 세가지 정의
1) 용어의 쓰임이 부정확했다.
- 누구나 알고 있거나 같은 의미로 이해하고 있는 용어를 사용
- 이해가 어려운 용어가 있을 경우에는 자신이 정의를 내리고 시작해야함
- 이를 조작적 정의라고 표현을 함
2) 분류 체계가 불명확했다.
- 분류체계가 명확하다는 것은 전체를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체계적이어야 한다는 뜻
- 빠진 것이 없어야 하고 중복이 있어서도 안됨 (MECE)
3) 인과관계가 불분명했다.
- 분류체계는 수평적인 관계성을 의미한다면, 인과관계란 수직적인 관계성을 말하며,
- 정보사이의 관계가 원인대 결과로 설득력 있게 연결되어야 한다는 뜻
- 로직트리(Logic tree)에서 "So What" "Why So"의 질문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
- So What 에는 어떤 사실로 부터 결론을 도출해 내거나 원인에서 결과를 도출
- Why So는 결론이나 결과를 두고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질문
- 로직트리의 맨 밑단은 팩트(사실)로 구성되어야 함 즉, 의견은 배제한 옳은 팩트
# 사진 파일의 활용 원칙 3가지와 시각화를 저해하는 3가지 요인
1. 사진파일 활용 원칙 3가지
1) 함부로 원본 비율을 바꾸면 안 된다.
- 사진에 대한 예의가 이님
- 상하좌우 비율을 유지하면서 크기를 조정해야 함
2) 하얀색이나 검은색 배경 슬라이드인 경우, 배경사진이 없는 사진이 시각적 효과를 낸다.
- 슬라이드 자체의 배경과 사진 파일의 배경까지 중복되면 복잡하다는 인상
- 배경이 없는 사진은 검색 조건을 설정하여 다운로드하거나 파워포인트 배경제거기능활용
3) 강조나 극적 효과가 필요할 경우 중간에 한장의 전체화면 배치 사진 배치
- 전체적으로 레이아웃이나 색을 일관성 있게 사용하여 통일감과 안정감 배치
- 모든 슬라이드의 디자인이 다르게 구성되는 경우 산만하거나 조잡한 느낌
- 하지만 처음부터 동일한 구성은 지루하거나 단순함
- 따라서, 강조하거나 전환이 필요한 부분에서 전체 이미지 슬라이드로 집중도 높임
- 단, 이 경우에는 텍스트와 비슷한 색을 사용해서는 안됨
2. 시각화를 저해하는 3가지 요인
1) 템플릿 (주범)
- 누가 이미 그려놓은 그림위에 그림을 그려야 하기에 시각화 방해
- 흰색, 검은색 슬라이드에 자기만의 슬라이드를 작성하는 습관 필요
2) 3차원 도형 (공범)
- 슬라이드는 2차원이므로 억지로 입체감을 넣으려하면 시각화 저해
3) 애니메이션 효과 (종결자)
- 복잡한 프레젠테이션을 더 복잡하게 만들 뿐 장점이 없음
- 효과음이 많을 수록 오래보기 힘든 프레젠테이션 자료가 됨
#도형을 활용하는 방법 4가지
1) 텍스트
- 이미지와 함께 쓰이면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떨어짐
- 하지만, 한 단어나 한 문장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시 집중도 높아짐
- 이미지나 다른 시각적인 효과 없이 텍스트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로 프레젠테이션 가능
2) 선
- 슬라이드 내에서 슬라이드를 나누는 역할
- 비교나 대조적인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
- 화살표는 정보 간의 순서나 관계성 등 생각의 흐름을 표현하는 그리기 도구
3) 도형
- 슬라이드 상에 배치된 도형들이 보이지 않는 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듯이 보이는 선
- 슬라이드 자료 내에서의 정렬과 앞의 슬라이드와 뒤의 슬라이드 도형 사이의 정렬
- 기본 도형 활용, 도형의 색깔은 최대한 단순하게, 테두리선은 제거하고 사용
4) 이미지의 배치
- 아이콘, 픽토그램, 일러스트 등 다양한 자료로 프레젠테이션에 활용
- 구글 이미지 검색이나 무료사진 다운로드 사이트 활용
- 사진원본비율 유지, 배경이 없는 사진이 시각적 효과 우수, 슬라이드 전체 이미지 활용
# 건설업에서의 프레젠테이션
일반적으로 대기업에서는 템플렛이 주어지고 그에 따른 보고서 형식의 프레젠테이션을 활용하는 것이 위주이다. 폰트위주의 보고서 형식으로 사진이나 도형을 활용하는 일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공사대지나 공사 현황자료를 작성할 떄에는 현장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고화질의 사진을 첨부할 수 있다.
기획의 신에서는 이미지의 배치에 대해서 사진 원본비율을 유지하면서 작성을 하라고 했는데 이 부분은 내가 가장 크게 공감하는 부분이다. 사진 원본비율을 왜곡하면서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에는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다소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화살표나 선을 쓰는 경우에도 어느 슬라이드에서는 하얀색, 다른 슬라이드에서는 빨간색을 쓰는 등의 일원화 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것을 일원화 할 수 있도록 다른 현장직원에게도 알려주겠다. 작지만 디테일한 내용을 이번 기획의 신을 학습하면서 많이 배웠다.
'LARRY'S Acquaint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0) | 2020.05.07 |
---|---|
[BOOK] 보고서 마스터 / 이병주, 윤영돈 저 / 가디언 (0) | 2020.05.05 |
[BOOK] 빅데이터 부동산 투자 / 김기원 저 / 다산북스 (0) | 2020.05.05 |
[BOOK] IT트렌드 스페셜 리포트 / 김석기, 김승열, 정도희 저 / 한빛미디어 (0) | 2020.05.04 |
[BOOK] 최신IT트렌드 / Saito Masanori 저/이영란 역 / 정보문화사 (0)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