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은 왜 창의적이지 않을까?
- KBS 1TV / '인간탐구-위대한 질문' / '나는 왜 창의적이지 않을까' (2016.10.12)
- 창의력 : “뇌의 인지적 자원”을 소모하는 행위
- 창의력이 없다 ⇒ 세월이 흐르면서 최적화, 진화 과정에서 당연한 결과
(2) 창의력을 키우는 간단한 연습 (brief practice to be creative)
① 관계가 먼 단어를 연결하기
- 커피 > 자동차 > 밥 > 신발
- 커피는 자동차다. > 자동차는 밥이다. > 밥은 신발이다.
②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의 리스트 작성해보기
ex) 광화문 스타벅스에서 절대로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의 리스트
외계인을 만난다. / 비빔밥을 시킨다. / 비행기를 탄다. / 좀비가 나타난다.
락페스티벌을 한다. / 샤워를 한다./ 머리를 자른다.
(3) 예술; 극단적 창의성의 세계
①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마르셀 프루스트 저)
- 첫 번째 문장이 3페이지나 됨
- 프로이트식 인터뷰
⇒ 파티는 언제 했어요? 누구랑? 어떻게? 마차는 누구 것인가요? 말은 무슨 색 인가요?
② 앤디워홀 (NY, Museum of modern art)
③ 백남준 vs 도을 이야기
④ 연세대학교 “충격과 공포” 강의
(4) 인간은 이야기의 동물
- 인간의 직관은 창의성을 거부하며 관습의 힘으로 돌아오게 되어 있음
- 하지만, 이야기는 창의적 해결 방식을 받아들임
- 이야기를 좋아하는 인간이 진화에 성공한 것은 이야기가 직관을 보조하기 때문
- 이야기는 예상과 다른 것에서 문제(trouble)를 간접적으로 경험함
- 원하지 않는 일, 일어나기 싫은 일에 대한 간접 경험을 함
⇒ 영화, 소설을 보면서 감정을 느낌 (실제 경험할 경우 뇌의 같은 부분을 자극함)
⇒ 태극기 휘날리며, 장동건이 원빈을 때릴 때, 부산의 여성 관객 “너 동생이야!”를 외침
(5) 스토리텔링과 창의성
① 스토리텔링
- 이야기는 시대와 환경 제약을 초월하는 사고, 감정을 연습
- 진부함이 죄악인 세계, 새로움을 추구
- Variety 상황, Variety 인물
- 더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이해할수록 더 다양한 해결 방안 가능
② 어린이 영화/이야기
- 겨울왕국, 소공자, 소공녀
⇒ 고아, 부모가 없음에 대한 아이들의 생각에서 생각 함 (전제 자체가 매우 극단적)
③ 창의성과 문화, 개인과 사회
- 조직과 문화에서 실패에 대한 용인 정도에 따라 다름
- 아이들이 창의적인 이유
⇒ 실패에 대한 처벌이 없고, 성공의 보상이 별도 없으며, 여유 있고 편안한 상황
⇒ 즉, 평가를 받지 않음, 순수한 의도에서 생각
⇒ 생산적이고 유용한 것만 만드는 마법의 창의성은 없음
⇒ 실패를 용인하고 장려하는 문화에서 개화되며 창의성은 스펙이 아닌 문화의 산물
⇒ 모두가 창의적일 수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but 창의성이 삶을 즐겁게 만들 수 있다.
(6) 자기선택권의 예술
- 패션모델은 행복지수가 매우 낮다고 함 ( ∵ 자기선택권이 없기 때문, 주어진 옷을 소화)
- 예술은 극단적 자기선택권을 가지고 있음
Q : 극단적 자기선택권과 대중성 사이에서 어떠한 것에 가중치를 두어야 할 것인가? A : 초기의 글은 어린 상태에서 자기만을 위한 글로써 남겨두고, 진심으로 글을 쌓아가다 보면 마음이 정리된다. 글은 쌓아두었다가 정리의 과정(습작의 과정)을 통해 다듬어진다. 역사상 가장 글을 많이 쓰는 세대가 되었다. S.N.S를 통한 글이 추후에 후회가 되는 이유는 그 과정이 생략되었기 때문이다. |
(7) 작가가 되기 위해서
- 유명한 작가도 익숙해지지 않음(박경리, 박완서도 죽기 전까지 글을 놓지 않음)
- 위대한 작가는 검증(정리)되었으니, 이전의 저명한 작가의 글을 읽는 것이 도움이 됨
(8) 공감능력을 배가할 수 있는 소설
- 美 : 소설을 다독한 사람이 공감능력이 높아, 인간을 이해하는 능력이 탁월함 연구결과
-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협력(협업)하는 능력은 미래에 가장 중요한 능력이 될 것으로 예상
- 소설은 인간 심리의 빅 데이터로, 단순하지 않고 매우 복잡한 심리 표현이 녹아있음
(9) Invisible
- [형용사]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 사회에서 invisible이란 숨은 곳에서 일하는 사람
- 이들의 특징은 잘 못할 때 부각이 됨
'LARRY'S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탄소년단과 방시혁PD의 성공 (0) | 2020.04.19 |
---|---|
나의 삶, 나의 행복 / EBS 인문학 강의 (0) | 2020.02.27 |
우주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라 (0) | 2020.02.27 |
프리메라리가에서 배우는 인재전쟁의 지혜 (0) | 2020.02.27 |
요구보다 욕구를 공략하라 (0) | 2020.02.27 |